본문 바로가기

Dev/python15

다시 돌아온 취준생활, 프로젝트 정리 https://diligent-chord-b09.notion.site/Project-0975bb9dc65f47d59c2a43d452fa0518 Project A new tool for teams & individuals that blends everyday work apps into one. diligent-chord-b09.notion.site 취준생때 열심히 파이썬 배우며 혼자 뚝딱거렸던 프로젝트들. 다시 보니 귀엽기도 하고 참 열심히다 싶기도 하네... 그래도 기특하네 그때의 이혜원 ;) 2021. 10. 28.
추가! 나의 파이썬 공부기록 https://blog.naver.com/8125686 Daily_HYEOZ : 네이버 블로그 인스타그램 hye_OZ blog.naver.com 취준하며 나름 열심히 적었던 네이버 블로그! 이래저래 일상 글들도 많아서, 여기있는 공부 관련 글들은 미디엄처럼 옮기지 않고 그대로 두려고 한다. 앞으로 잘해보자 티스토리 ;) 2021. 10. 27.
당신의 픽에 투표하세요! 픽미픽미 나야 나! sorting을 통해 만들어보는 조합 픽 이 정도까지만 옮겨야겠다. 일 열심히도 했네 나.. 이번 주는 A매치 주간으로, 대부분의 리그 경기가 잠시 멈춰져있는데요! 여기에 API 업체 이슈까지 겹쳐져 모델링 작업을 잠시 쉬어가게 되었어요. 선수 데이터도 들어오면 모델링에 추가해서 모델을 더욱 고도화 할 계획이었는데, 잠시 미뤄둬야겠네요! 보통 리그경기가 모두 있을 땐 하루에 50개가 넘는 경기를 예측하는데, 이렇게 모댈링이 잠시 쉬어 여유가 생겼을 때 다양한 것들을 시도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그러다 나온 아이디어가 바로 조합픽에 대한 것이었어요. 이전 제 글을 봤을 때도 아시다싶이, 모델링 예측 결과로 프로토를 구매하는 분들이 종종 있는데요! 경기가 많을 땐 도대체 어떤 경기를 구매해야 하는지 어려울 때가 있다고 해요. 그래서 다양한 .. 2021. 10. 27.
싸늘하다...가슴에 성적표가 날아와 꽂힌다...한 경기씩 채점하며 지금까지의 적중률을 계산해봅시다! 참...어차피 부당해고 당할거 뭐 이리 블로그를 열심히 썼나 싶다...^^ 문득 DB를 확인해보니, 벌써 모델링을 구체화해서 DB에 쌓기 시작한지도 한 달이 다 되어가더라구요! 스케쥴러까지 돌려놓으니, 어제처럼 공휴일에도 컴퓨터 혼자 알아서 모델링하고 DB까지 쌓아줘서 하루하루 뿌듯함을 느끼고 있어요 ;) 하지만! 알아서 잘 하고 있다고해서 무시하고 있을수는 없겠죠! 지금까지의 적중률을 계산해서 중간점검 성적표를 내보고, 더욱 고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보도록 해요! 일단 현재까지 적중률을 확인해보고, 앞으로는 적중률을 매 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코드를 함께 짜러 가봅시다! 먼저 model 테이블과 경기 일정과 결과를 보여주는 match_info 테이블을 주피터로 가져와서 확인해보도록 해요. 어.. 2021. 10. 27.
안녕하세요? 그 저기 데이터 좀 쓸게요(총총총..KBO 데이터 크롤링 해보기! 몇몇 글만 가져오는 데에도 시간이 꽤 걸린다..! 그냥 미디엄으로 블로그 운영할까 진지하게 고민.. 물론 이렇게 간신배처럼 가져오지는 않았습니다… 축구 관련 데이터는 와이스카웃을 통해 방대한 양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덕분에 완성도 높은 모델링과 코드를 만들 수 있었어요! 이제 스케쥴러와 텔레그램봇으로 가만히 있더라도 알아서 코드가 돌아가고 에러가 발생하면 알림도 오도록 설정해 놓았구요. 자, 이제 종목을 바꿔볼까 해요! 물론 축구와 같이 모든 환경이 갖춰진 상태에서 연구를 진행할 수는 없겠지만, 시작은 미약해도 그 끝은 창대하리라- 라는 말이 있잖아요! 이번에 데이터를 크롤링하고 모델링 연구를 해 볼 종목은 야구입니다! 한국에서는 제1의 프로스포츠라고 불릴만큼, 국내 인기가 대단한 종목이죠. 사실 .. 2021. 10. 27.
느슨해진 모델링에 긴장감을 주는 APScheduler와 텔레그램봇 이 글 역시 미디엄 포스팅! 자잘한 이름 오류들도 모두 수정한 완벽..아니 완전한 코드를 갖게 된 모델링을 이제 주기적으로 실행해주기만 하면 됩니다! 그래서 저번 포스팅에서 Crontab을 공부해보는 시간을 갖기도 했죠. 그런데! 두둥- Crontab은 리눅스 계열에서 사용하는 스케쥴러라, 현재 사내 데스크탑을 외부에서 접속하여 작업하고 있는 저로서는 사용하기 힘들어졌어요. (데탑은 윈도우이기 때문!) 그래서 다른 스케쥴러를 찾다가 발견한 것이 apscheduler! 주피터 노트북 내에서 import만 해주면 되기 때문에 쉽게 사용 할 수 있을 것같았어요. 그럼 같이 설정하러 가실까요? 스케쥴러를 설정하는건 생각보다 간단해요! 코드 몇줄로 설정 가능하답니당. #Jupyter file1 #패키지 impor.. 2021. 10. 27.